성만찬 테이블 위에 놓아야 할 것과 놓지 말아야 할 것에는 무엇이 있나요?

성만찬 테이블에는 무엇이 있어야 할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간단히 말하면, "성찬식을 거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입니다.

그렇다면 성찬식에 꼭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성만찬 테이블에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들

성만찬 테이블에는 떡(bread)과 잔(chalice) 그리고 이 두 가지를 덮을 덮개가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떡의 경우, 미리 잘려져 있는 떡을 담는 접시를 사용한다면, 보통 접시와 뚜껑을 함께 구입합니다. 웨이퍼를 사용하여 시보리움(ciborium, 성찬식용 웨이퍼를 담는 용기)에 넣을 경우에도 그와 마찬가지이며, 이 두 경우에는 뚜껑이 이미 덮개 역할을 하게 됩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포도즙이나 포도주를 담을 잔에도 덮을 무언가가 필요합니다. 잔의 포도즙이나 포도주가 다 떨어질 경우를 대비하여, 포도즙 또는 포도주를 담아 놓는 별도의 용기를 준비해 놓았는데, 용기가 이미 덮여 있다면 추가로 더 덮을 필요는 없습니다. 또한 작은 포도주를 담는 조그만 용기들을 넣는 트레이 세트를 사용할 때도 뚜껑이 덮개 역할을 하므로, 덮을 것이 추가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집례하는 목사가 성찬식 감사기도(Great Thanksgiving)를 인도할 때 사용할 예문도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 중 대다수가 가장 결정적인 시기에 기술적 결함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실질적인 측면에서 볼 때, 집례자가 회중을 바라보며 볼 수 있는 스크린에 이 말씀을 띄우더라도, 예비용으로 인쇄된 예문을 테이블에 비치해 두면 도움이 됩니다.

성만찬 테이블에 관례적으로 놓는 유용한 것들

성만찬 테이블에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관례적으로 사용되는 몇 가지 품목이 있습니다.

많은 연합감리교회는 성만찬 테이블과 강대상 그리고 사회자 강단에 절기에 맞게 통일된 강단보(paraments)를 사용합니다. 강단보는 사순절에는 보라색, 부활절과 만인성도주일에는 흰색 또는 황금색 등과 같은 기독교 절기를 나타내는 특별한 색깔을 사용합니다. 또한 흰색 천을 사용하여 성만찬 테이블에 놓인 떡과 잔 같은 집기 그리고 테이블 전체를 덮는 것이 관례이며, 강단보는 떡과 잔 밑의 성만찬 테이블 상단을 덮는 용도로도 사용됩니다.

유리 또는 플렉시글라스(plexiglass) 커버를 사용하여 강단보를 테이블 위에 고정할 경우, 그 위에 흰색 커버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필요하다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지난 몇 년간, 우리는 성찬식을 거행할 때, 성만찬 테이블 전체를 흰색 천으로 덮어야 하는지 또는 기독교 절기에 맞추어 강단보 색깔을 맞춰야 하는지에 관해 사람들로부터 많은 질문을 받았습니다.

그에 대한 대답은 ‘아니요’입니다.

"평범한 흰색 천"은 역사적으로 식탁 상단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어 순결을 상징했습니다. 이 천은 조그맣게 만들 수 있으며, 사용하는 상황에 맞게 크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흰색 냅킨을 펼친 것처럼, 한 면이 18~24인치 크기인 정사각형 천이 사용됩니다.

더불어 성만찬 테이블 양 끝에 두 개의 큰 초를 놓는 것이 관례입니다. 역사적으로, 성찬식을 거행하는 데 필수적이지 않은 초와 기타 물품들은 성만찬 테이블에 놓지 않고, 대신 성만찬 테이블 옆이나 뒤에 있는 기둥 또는 다른 테이블 위에 놓았습니다. 그러나 일부 전통에서는 여전히 초를 성만찬 테이블에 놓는 것이 관습이며, 촛불이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한, 주님의 식탁에서 우리가 하는 일이 거룩하다는 느낌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강혜경 목사와 모토에 푸어(Motoe Y. Foor) 목사가 2018년 하와이 호놀룰루에 있는 그리스도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연합감리교 아시안여성목회자 전국연합회와 한인여교역자 전국연합회의 연합 집회인 오하나(Ohana) 총회에서 성만찬을 집례하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강혜경 목사와 모토에 푸어(Motoe Y. Foor) 목사가 2018년 하와이 호놀룰루에 있는 그리스도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연합감리교 아시안여성목회자 전국연합회와 한인여교역자 전국연합회의 연합 집회인 오하나(Ohana) 총회에서 성만찬을 집례하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성만찬 테이블에 올려서는 되는 것들

그렇다면, 성만찬 테이블에 올려서는 안 되는 것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실용적인 관점에서 볼 때, 성찬식을 거행하는 데 필요하지 않고, 사람들 또는 집례자의 시야를 방해하거나 가리지 않는 것은 무엇이든 허용되지 않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로, 20세기 내내 개신교 교회 용품점에서 판매한 표준 '제단 세트'가 있습니다. 이 세트는 두 개의 큰 양초와 큰 성경책 그리고 스탠드에 달린 큰 청동이나 황동 십자가로 구성되었습니다. 양초는 사회자를 방해하거나 시야를 가리지 않는 테이블 끝에 놓을 수 있지만, 큰 성경과 십자가는 상황에 따라서는 불필요하거나 시야를 가리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즉, 이러한 세트가 전시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성찬 테이블의 목적과 일치하지 않아 혼란스러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큰 성경은 진열해 두었다가 사용하지 않는 것보다 성경을 읽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강단에 놓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교회에서 입례송을 부르며 행진할 때 쓰이는 십자가가 이미 세워져 있거나, 성만찬 테이블 또는 교회 벽에 큰 십자가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성만찬 테이블에 다른 십자가를 놓을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꽃은 성찬식을 위해 필요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성찬을 진행할 때 시야를 가리는 경우가 있으므로, 꽃은 주로 사이드 테이블이나 성만찬 테이블 뒤에 있는 진열대 등에 놓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성만찬 테이블에는 무엇이 있어야 할까요?

성찬식에 꼭 필요한 것뿐만 아니라, 관습적으로 성찬식을 더욱 경건하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 성찬식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면 무엇이든 상관없습니다.  

원문 보기

기사는 연합감리교 공보부의 사역인 Ask the UMC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이메일 tkim@umnews.org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받아보기를 원하시면, 무료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해 주세요. 

개체교회
미국 내 교회의 평균 주일 예배 출석 인원이 100명 이하인 교회의 비율이 2000년 45%에서 2020년 70%로 증가했다. 윔즈 박사는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공유하며, 작은 교회가 가진 독특한 소명과 보다 긍정적인 미래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사진은 노인 중심의 작은 교회 모습이다. 사진 출처, 5 Ways Forward for Very Small Congregations, 루이스교회리더십센터.

작은 교회를 위한 5가지 제안

미국 내 교회의 평균 주일 예배 출석 인원이 100명 이하인 교회의 비율이 2000년 45%에서 2020년 70%로 증가했다. 윔즈 박사는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공유하며, 작은 교회가 가진 독특한 소명과 더욱 긍정적인 미래를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개체교회
도은배 목사가 섬기는 일리노이주 샤나한 연합감리교회의 디지털 간판(billboard)에 “(창세기의 인물들은) 왜 그토록 오래 살았을까?”라는 제목의 설교를 한다고 쓰여 있다. 사진 제공, 도은배 목사.

Ask Your Pastor 3: 창세기 인물들은 왜 그토록 오래 살았을까?

도은배 목사는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가르쳐 주시고 몸소 보여주신 삶은 단순히 무병장수의 인생이 아닙니다. 종말론적인 삶입니다. 하루하루를 생의 마지막으로 알고 살아가는 삶입니다.”라고 말한다.
총회
2024년 8월 14일 스웨덴 예테보리에서 열린 세계감리교대회에서, 세계감리교협의회는 한반도 평화 증진을 위한 노력에 동참하고 이를 지지하는 한반도 결의안을 채택했다.  사진은 2024년 8월 14일 스웨덴 예테보리에서 열린 22차 세계감리교대회 개회 예배에서 찬양을 인도하는 한국 광림교회 중창단의 모습.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세계감리교협의회, 한반도 평화 노력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채택하다

2024년 8월 14일 스웨덴 예테보리에서 열린 세계감리교대회에서, 세계감리교협의회는 한반도 평화 증진을 위한 노력을 지지한다는 한반도 결의안을 채택하고, 회원 교회들의 동참을 촉구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